2025 4월 서울 축제 불을 밝히는 행사 연등회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의 대표적인 봄 축제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2025 서울 연등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매년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하여 열리는 이 축제는 단순한 불교 행사를 넘어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한국의 전통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이어져 온 오랜 역사를 가진 행사로, 2020년에는 그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공식 등재되었습니다.
연등은 부처님의 지혜와 자비를 상징하며, 연등을 밝히는 행위는 자신의 마음속 어둠을 밝히고 세상에 밝은 빛을 전하고자 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현대의 연등회는 불교 신자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과 외국인 관광객들도 함께 즐기는 문화 축제로 발전했습니다.
서울 연등회가 4월26일부터 이틀간 열리는데, 종로를 가득 채울 화려한 연등과 장엄한 퍼레이드는 놓치 수가 없습니다!!
- '연등회' 일/정/안/내 -
행사명 | 일시 | 장소 | 세부일정및정보 |
봉축점등식 | 2025년 4월 2일 19:00 (예정) | 광화문광장 (예정) | 세부일정 및 정보 보기 |
전통등전시회 | 장소별로 상이(4.16~5.6) | 광화문광장,서울공예박물관,열린송현녹지광장,청계천,조계사,봉은사 | 세부일정 및 정보 보기 |
어울림마당(연등법회/연희누리) | 2025년 4월 26일(토) 오후 4:30~6:00 | 동국대학교 대운동장 | 세부일정 및 정보 보기 |
연등행렬 | 2025년 4월 26일(토) 오후 7:00~9:30 | 흥인지문~종로~조계사 | 세부일정 및 정보 보기 |
대동한마당(회향한마당) | 2025년 4월 26일(토) 오후 9:30~11:00 | 종각사거리 | 세부일정 및 정보 보기 |
전통문화마당 | 2025년 4월 27일(일) 오전 11:00~오후 7:00 | 조계사 앞길 | 세부일정 및 정보 보기 |
공연마당 | 2025년 4월 27일(일) 정오~오후 6:00 | 조계사 앞길(공평무대) | 세부일정 및 정보 보기 |
연등놀이 | 2025년 4월 27일(일) 오후 7:00~9:00 | 인사동 → 조계사 앞길(공평무대) | 세부일정 및 정보 보기 |
봉축법요식 | 2025년 5월 5일(월) 오전 10:00 | 조계사와 전국의 사찰 | 세부일정 및 정보 보기 |
- 연등회 보존위원회 -
공식 홈페이지 http://www.llf.or.kr/
연등회
www.llf.or.kr
- 연등회의 오늘 -
- 시민의 '문화축제'
시민의 축제를 위한 새로운 시도들이 이루어졌습니다. 동자승과 부처님 캐릭터 개발과 보급으로 친근함을 주었고 거리문화축제(전통문화마당)와 회향한마당 등을 통해 참여와 호응을 높이고 시민들, 외국인들이 구경꾼이 아니라 참여자로서 축제를 즐기도록 마련해 주었습니다. - 점점 다양해지는 '등(燈)'
연등행렬에는 자신이 직접 만든 등을 만들어 참여하는데 이 등에는 자신과 가족을 위한 기원과 이웃과 사회를 위한 마음의 기원을 담아 불을 밝힙니다.각양각색의 전통등을 복원하여 아름다운 전통의 등문화를 전승하고 대중에게 알리고 있습니다.
또한 전통등강습회를 통해서 등만들기 역량이 키워지고 각 단체나 사찰에서는 등 만들기 문화가 정착되어,다양한 등들로 행렬을 아름답게 만들고 있습니다. 연등회 참여를 위해 6개월 전부터 등 만드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 즐기는'축제'
연등회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행사장 어디를 가도 볼거리 즐길거리가 넘쳐 역동적으로 직접 참여할 수 있습니다. 조계사 앞 우정국로에서 펼쳐지는 전통문화마당에서는 100여개 부스가 펼쳐져 다양한 문화체험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습니다.
외국인들과 시민들이 연등행렬만큼 사랑하는 축제 프로그램입니다.
실제 연등회에 참여한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연등회를 종교행사라 생각하지 않고 ‘한국의 문화콘텐츠를 잘 살린 문화축제’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축제'
연등회의 핵심인 다양한 장엄등과 행렬등은 모두 참가자가 직접 만들어 참여하고 있습니다. 축제의 즐거움을 위하여 준비과정을 전적으로 참가단체의 자율에 맡기고, 동참하는 사람들이 시간과 정성을 들여 만든 등을 가지고 참여하니 더욱 행복하고 적극적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남이 차려놓은 잔치를 지켜보는 관망형 축제가 아니라 내가 직접 만들고 즐기는 온기있는 축제이므로 생동감과 행복함을 함께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연등회의 힘 -
- 축제의 의미 '열성 고객을 확보하다'
등은 온갖 욕심으로 인해 발생한 어리석음을 깨우치는 지혜와 더불어 자비를 상징합니다.
부처님오신날 뿐만 아니라 등을 수시로 밝히고 부처님께 등공양을 올리며 탐욕과 분노, 어리석음에서 벗어나 깨우침 얻기를 서원합니다. 작은 등 하나를 만들 때에도 온 정성을 기울이며, 대형 장엄등 제작은 여럿이 함께 화합하고 배려하는 긴 수행으로 여기며 만들고 그 등을 갖고 신명나게 참여하는 열성 참가자들이 있습니다. - 춤과 노래로 '잠재되어 있던 흥을 찾다'
연등회의 연등놀이와 회향한마당은 각 사찰의 연희단과 율동단의 공연으로 채워집니다.
겉보기엔 전문무용단으로 보이지만, 청년들의 역동적인 춤과 곱게 단장한 아주머니들의 장고춤은 모두 아마추어들의 솜씨입니다.
참여자들이 즐겁게 놀 수 있는 방법으로 창작율동과 음악을 도입하자, 쉬운 동작과 노랫말은 축제에 참여한 일반 시민과 외국인들이 부담없이 함께 동참할 수 있습니다.
꽃비와 강강술래가 활용되면서 국적과 인종, 종교와 세대를 떠나 춤과 노래로 하나되는 즐겁고 의미있는 난장(亂場)은 연등회에 또다른 명물이 되었습니다.
- 연희단 / 율동단
- 회향한마당
- 연등놀이 / 난장 - 참여자들의 '자발성을 끌어내다'
연등회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행사장 어디를 가도 볼거리 즐길거리가 넘쳐 역동적으로 직접 참여할 수 있습니다. 조계사 앞 우정국로에서 펼쳐지는 전통문화마당에서는 100여개 부스가 펼쳐져 다양한 문화체험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습니다. 외국인들과 시민들이 연등행렬만큼 사랑하는 축제 프로그램입니다.
실제 연등회에 참여한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연등회를 종교행사라 생각하지 않고 ‘한국의 문화콘텐츠를 잘 살린 문화축제’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등 만들기
- 단심줄 강강술래
- 북청사자놀음
- 종이꽃(지화) 나누기
- 불교 참선 체험
- 컬러링 체험 - 천년의 유구한 역사가 곧 '경쟁력이다'
전통문화는 세월과 함께 이어져 내려오는 가운데 시대적, 사회적 배경을 반영하며 변화하고 재창조됩니다. 한국불교 역사는 자그마치 1700년입니다.
오랜 역사와 함께 연등과 관련된 행사가 꾸준히 지속되어온 만큼 연등회는 민속문화로서의 가치와 다양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막 걸음마를 뗀 아이에서부터 연세드신 할머니까지 등을 밝혀 행렬에 자발적으로 동참하는 모습은 오랫동안 습속화된 전통이며, 유구한 역사와 함께 숨쉬며 민초들의 손에서 손으로 이어져 내려온 문화입니다.
2025년 부처님오신날 봉축 공식 포스터가 공개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터는 연꽃 위 좌정한 부처님의 모습과 부드러운 빛의 퍼짐을 통해 "자비의 마음이 평안한 세상을 만드는 길"임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따뜻한 색감을 활용하여 부처님오신날의 환희로운 분위기를 담아냈으며, 연등의 밝은 빛이 세상을 비추는 의미를 강조하였습니다.
다가오는 부처님오신날, “세상에 평안을, 마음에 자비를”이라는 봉축표어처럼 자비와 평화의 빛이 널리 퍼지기를 바랍니다.
이미지출저 : 연등회(http://www.llf.or.kr/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4112)